어느 날.
하루에 몇 번이고 뀌어버렸던 그놈.
이렇게 많이 뀌어도 되나 싶을 정도로 껴서 호기심이 생겨버렸다.
"방귀" 너 자식 대체 누구냐 !!
"방귀"의 뜻
"방귀" 너 누구냐에 대해서 나무위키링크를 달았지만 아직 난 목마르다.
"방귀"를 정의하기에
명사
[표준국어대사전]
음식물이 배 속에서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어 항문으로 나오는 구린내 나는 무색의 기체.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뱃속에서 음식물이 발효되면서 생기어 똥구멍으로 나오는 구린내가 나는 가스.
[우리말샘]
음식물이 배 속에서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어 항문으로 나오는 구린내 나는 무색의 기체.
그니까 공통적으로 통일되게 말하는 걸 하나로 합치면
"배 속에서 발효되어 항문(똥구멍)으로 나오는 구린내 나는 무색 가스"다
오케이 뜻은 파악완료 그럼 다음으로 궁금한 이것저것을 알아보자
방귀 한자 및 어원
충격적인 사실은 방귀가 한자가 없는 한글말이었다.
"방구"는 사투리고, "방귀"가 표준어라고 한다.
방귀는 방기(放氣)에서 유래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방귀를 屁라고 하고 방귀 뀌는 것을 방비(放屁)라고 한다.
放氣(놓을 방 + 기운 기) => 기운을 석방? 내쫓는? 하는 행위이다.
放屁(놓을 방 + 방귀 비) => 얜 진짜 방귀를 놓아버리는 거네 미치겠다
"놓을 방"자의 구성원리를 보면
소의 등에 물리는 쟁기를 ㅏ 모양의 막대를 손으로 쥐어서 앞으로 내쫓는다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음 한자조합으로 보면 중국과 일본의 방귀가 맞는데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모아서 새로운 글자를 만든 형성문자기도 하고 뭔가 마음에 안 든다. 우리는 한국인, 한국인답게 ‘송남잡지’에서 연암 박지원선생님이 쓰셨던
“진(陳) 나라에서 사람을 보내 수나라에 방문케 하였는데 수나라에서 후백(侯伯)으로 하여금 빈객을 응접 하게 했다. 빈객은 후백을 미천한 사람이라 여기고 곁에 누워 방귀를 뀌었다.
지금의 똥 냄새나는 기체를 내뿜는 것을 ‘방귀(放氣)’라 하는 말은 여기서 유래됐다.”라고 생각하겠다.
방귀는 하루에 몇 번 뀌어야 정상일까?
생각보다 충격적이다
방귀의 빈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건강한 범위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없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하루에 약 14번에서 23번 사이의 방귀를 뀌는 것이 정상적이다. -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의학 저널
이게 또 지나치게 많거나 적으면 질병을 주의해야 한단다... 미치겠다
- 지나치게 많은 방귀:
- 소화 장애: 소화 과정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음식물이 소장에서 대장으로 너무 빨리 이동하거나, 대장 내의 박테리아 활동이 증가하여 방귀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과다한 가스 생성: 특정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과도한 공기를 삼켜서 가스 생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소화 시스템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후군으로, 방귀가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나치게 적은 방귀:
- 소화 문제: 소화 과정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가스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방귀의 빈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식이 요인: 과도한 식이 섬유, 적은 수분 섭취, 혹은 고단백 식사 등이 방귀의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소화기 질환: 소화기 질환으로 인해 소화 과정이 어려워지면 방귀의 빈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루에 14~23번씩 다들 방귀 뀝시다!
도움 되는 알쓸신잡 관련 글
중고차 구매 후 공짜 보험수리 받는법 중고차 성능보증보험 성능기록부 카알라서비스
요약 - 중고차 성능점검기록부 제발 챙기세요 - 보험대상은 : 딜러를 통해 구입 + 구매 후 30일이 안 지남 + 구매 후 2,000km 미만 - 성능점검기록부랑 내 차량의 상태가 다르면 수리에 대해 보장을
parkhong-survivaltip.tistory.com
블로그 파비콘 아이콘 CSS버튼 썸네일 도움되는 도구모음
블로그를 최근에 처음 시작하면서 뭐부터 시작을 해야 할지 매우 막막했다. 어디 플랫폼에서 시작할까부터 시작해서 남들 다 당연히 있었던 스킨, 썸네일, 아이콘, favicon, 버튼 등 나에겐 없는
parkhong-survivaltip.tistory.com
'박홍의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기한 잡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ㄴ. (박홍의 알쓸신잡) 날짜(익일, 금일, 명일, 작일 뜻) 단어 정리 비교 예시 (0) | 2024.03.30 |
---|